top of page

K-MBI 수정바델지수


한글판 수정바델지수 (K-MBI)



수정판 바델 지수의 일반적인 사용지침


1 . 평가항목의 과제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는 1로 분류하고 바델 점수는 0점에 해당한다.


2. 보호자에게 거의 대부분을 의지하는 경우, 또는 누군가 곁에 있지 않으면 안전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2 로 분류한다.


3. 보호자에게 중등도로 의지하는 경우, 또는 과제를 끝까지 수행하기 위해 보호자의 감시가 필요한 경우 는 3으로 분류한다.


4. 보호자의 도움이나 감시를 최소로 필요로 하는 경우는 4로 분류한다.


5. 완전히 독립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5로 분류한다. 환자의 과제 수행 속도가 느린 경우, 그 기능의 수행을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점수를 아래 단계로 분류하지 않는다.






1. 개인위생

☞ 일반적인 사용지침에 준하여 구분 가능.


등급 (점수 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환자가 개인위생을 할 수 없고, 모든 면에서 의존적이다. 환자가 치아(의치)닦기, 머리 빗기, 손 닦기, 세수하기, 면도, 화장하기에서 완전히 의존적이다.


2 (1) 개인위생의 모든 단계에서 도움이 필요 하다. 환자가 상기 활동 중 한두 가지는 스스로 할 수도 있다. 의치 벗기, 면도 등 상기 활동에서 스스로 하는 부분보 다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해 수행되는 부분이 많다.


3 (3) 개인위생을 수행할 때 하나 또는 그 이 상의 단계에서 일부 도움이 필요하다. 화장하기, 한 손을 씻기, 이 닦기, 턱밑의 수염 깎기, 뒷머리 빗기, 한 손을 말리기에 도움이 필요하다. 작업 을 끝내기 위해 계속적인 힌트가 필요하다


4 (4) 환자가 개인위생을 수행할 수 있으나, 수행 전, 후에 최소한의 도움이 필요하 다. 플러그 끼우기, 면도기 날 고정하기, 뜨거운 물 다루기 와 같은 일을 할 때 안전에 대해 주의가 필요하며, 화장 을 하거나, 지우거나, 얼룩진 화장을 고칠 때 약간의 도 움이 필요할 수 있다.


5 (5) 환자는 손이나 얼굴 닦기, 머리 빗기, 이 닦기, 면도를 할 수 있다. 남자 환 자는 모든 종류의 면도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, 면도날을 도움 없이 장착할 수 있고 서랍이나 선반에서 꺼낼 수 있어 야 한다. 여성 환자는 스스로 화장을 할 수 있어야 한다. 환자는 모든 개인위생을 독립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.


☞ 면도날에 대한 질문은 생략 가능함. (남자는 손톱깎이, 여자는 화장하기 수행 여부 참고)




2. 목욕하기

☞ 일반적인 사용지침에 준하여 구분 가능.


등급 (점수 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목욕하는데 전적으로 의존적이다. 환자는 목욕 전반에 의존적이거나 혹은 몸을 씻지 못하 거나 닦고 말리지 못한다.


2 (1) 목욕의 모든 단계에서 도움이 필요하 다. 환자는 목욕의 단계에서 도움과 지시가 필요하다. 가슴과 팔은 스스로 씻을 수도 있다.


3 (3) 샤워나 목욕을 위해 이동하거나 씻고 말리는데 도움이 필요하다; 환자 상태 나 질환 등으로 목욕을 완벽하게 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한다. 샤워나 목욕 또는 씻기/말리기를 위해서 이동시 도움이 요구된다. 욕조에 앉기, 비누칠하기, 수건으로 닦기, 수 건세척, 팔다리를 씻을 때 도움이 요구된다. 환자는 힌 트, 유도 또는 감독을 필요로 한다.


☞ 적용범위가 넓음.


4 (4) 물 온도를 맞추거나 이동시 안전을 위 하여 감시가 필요하다. 목욕하는데 정상인에 비해 3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. 목욕기구, 목욕물, 세제 등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필요하 다. 이동을 위해 재촉이나 감독이 요구된다.


5 (5) 환자가 욕조, 샤워기를 사용하고 스펀 지나 목욕수건으로 몸을 잘 닦을 수 있 다. 다른 사람 도움 없이 어떤 방법을 동원하더라도 목욕의 모든 단계를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. 환자는 다리와 발을 씻기 위해 손잡이 달린 스펀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. 환자는 독립적으로 모든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, 정상인에 비해 2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.




3. 식사하기


등급 (점수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모든 식사 과정을 전적으로 타인에게 의존해야 한다. 보호자가 음식을 떠서 입에 넣어주면 환자는 오직 씹고 삼키기만 한다. 튜브영양 때 주입, 연결, 세척, 주입속도 조절 등에 모 두 도움이 필요하다.


2 (2) 숟가락 같은 식사 도구를 스스로 다룰 수 있으나 누군가가 식사하는 동안 적 극적인 도움을 주어야 함. 환자는 음식을 입으로 가져갈 수 있으나 타인이 숟가락 에 음식을 올려주어야 한다.


☞ 숟가락에 음식(밥이나 반찬)을 올려주면 입으로 가 져갈 수 있음.


3 (5) 감시 하에서 식사를 스스로 할 수 있 다. 차에 우유와 설탕을 넣거나, 음식 에 소금과 후추를 치거나, 버터를 바르 고, 국에 밥을 말거나 음식을 비비거나 쟁반을 돌리는 등 식사 준비 활동에 도 움이 요구된다. 환자는 숟가락에 음식을 담아 입으로 가져가 먹을 수 있 다. 물을 붓고, 마시고, 그릇을 열고, 고기를 자르데 도 움이 필요할 수 있다. 옷소매 접기, 의지, 보조기를 사 용할 수도 있고, 식사준비에 도움이 필요하다. 음식이 목에 메이거나 급히 먹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지시나 격 려, 감시하는 관찰자가 필요할 수 있다.


☞ 숟가락으로 음식(밥이나 반찬)을 입으로 가져갈 수 있으나 나머지 동작에 도움 필요.


4 (8) 고기를 자르거나 김치 자르기 혹은 생 선 바르기, 우유단지나 병뚜껑을 열 때 외에는 차려진 식탁에서 독립적으로 식 사를 할 수 있다. 다른 사람이 옆에 있 을 필요가 없다. 정상인보다 식사시간이 오래 걸린다. 음식을 잘 삼키게 하기 위해 배려가 필요하고, 음식을 가려 먹여야할 경우 가 있으나 더 이상의 도움은 필요치 않다.


☞ 감독 또는 준비가 필요한 경우.


5 (10) 음식을 손이 미치는 위치에 놓아주면 환자 스스로 식탁에서 식사를 할 수 있 다. 음식을 자르거나 소금이나 후추를 사용하고, 빵에 버터를 바르기 위해 보 조 도구를 주어야한다. 환자는 스푼, 포크, 젓가락, 컵, 유리잔, 긴 빨대, 보조 도구, 소매커버를 사용할 수 있고, 통조림을 열거나, 액 체를 붓고, 고기를 자를 때 위험 없이 할 수 있다. 도움 이 필요 없다.


☞ 완전히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




4. 용변처리

☞ 고무줄 바지를 병동에 요구할 수도 있음.


등급 (점수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완전히 의존적이다. 환자는 용변의 모든 과정에 의존적이다


2 (2) 용변의 모든 과정에서 도움이 필요하다. 환자는 이동, 옷 입고 벗기, 화장지 사용, 회음부 위생 에서 많은 도움이 요구된다.


3 (5) 착탈의, 이동, 손 씻기에서 도움이 필 요하다. 손 닦기, 옷 추스르기, 지퍼 열고 닫기 등을 할 때 이 동이나 균형을 잡기 위해 타인의 감독이나 도움이 필요 할 수 있다.


☞ 무엇이던 한 가지를 확실히 수행 가능 (특히, 회음부 위생)


4 (8) 안전하고 정상적인 용변을 위해서 감시 가 필요하다. 밤에는 이동변기가 필요 할 수 있고 이동변기를 비우고 씻는 데 는 도움이 필요하다. 안전을 위해 감시와 화장지 준비와 같은 준비에 도움이 필요할 수 있으며, 밤에는 이동변기를 사용할 수도 있 다. 변기가 어디에 있는지 알려 줄 수도 있다.


☞ 감독 또는 준비가 필요한 경우.


5 (10) 변기에 앉고 일어날 수 있고 착탈의가 가능하고 옷을 더럽히지 않고, 도움 없 이 화장지를 이용할 수 있다. 밤에는 이동변기를 사용할 수 있고 그것을 비 우고 세척을 할 수 있어야 한다. 환자가 변기를 사용하기 전에 스스로 옷을 추스르고, 변기에 다가가서 변기를 열고 닫고, 변기를 사용한 후 에 옷을 다시 가다듬을 수 있다. 여러 가지 보조당비 들, 즉 옷 집게, 지퍼 손잡이, 벽 손잡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. 안전하게 균형을 유지 할 수 있다. 환자는 용변을 위해서 옷을 벗고 입을 수 있으며, 용변 의 과정에서 여러 가지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고 안전 하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.



5. 계단 오르내리기


등급 (점수 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환자가 계단을 오를 수 없다.


☞ 도와주는 사람이 2명일 경우.


2 (2) 계단을 오르는데 보행 보조기를 포함한 모든 면에서 도움이 필요하다.


☞ 도와주는 사람이 부축하는 경우.


3 (5) 계단을 오르내릴 수는 있으나, 보행 보 조기를 나를 수 없으며, 감독이나 보조 가 필요하다.


4 (8) 일반적으로 도움이 필요하지 않음. 가 끔, 특히 오전에 사지 근육이 굳거나 숨이 찬 경우에 안전을 위해 감독이 필 요하다.


☞ 감독이 필요한 경우.


5 (10) 타인의 도움이나 관찰 없이 스스로 계 단을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다. 필요 할 때에는 난간, 지팡이, 목발을 사용 할 수 있으며, 계단을 오르내리며 보조 장비를 가지고 갈 수 있다.




6. 옷 입기


등급 (점수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스스로 할 수 있는 요소가 없고 모든 동 작을 타인에게 의존한다. 환자는 앞, 뒤로 기대거나 침대 난간을 이용할 수도 있다. 옷소매에 팔이나 다리를 집어넣거나 옷을 옮길 수 도 있으나, 타인이 전적으로 옷을 입혀 주어야 한다.


2 (2) 어느 정도는 옷 입기에 참여하지만, 모든 과정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 다. 옷 입을 준비과정에서 타인의 도움이 최대한 필요하다. 환자가 스웨터에 팔을 끼울 수는 있으나 머리를 집어넣 기 위해서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며, 다리를 집어넣고 바지를 올릴 수 있으나 나머지 부분은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다. 브래지어에 팔을 끼울 수는 있으나 가슴에 맞추고 후크를 잠그는 것은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다.


☞ 상의의 경우, 한쪽 팔만 소매에 집어넣을 수는 있으 나 다른 팔을 집어넣지 못함. 하의의 경우, 다리를 집어넣는 동작은 가능하나 엉덩이까지 올리지 못함.


☞ 단추만 잠글 수 있고 다른 동작이 불가능할 경우.


3 (5) 옷을 입고 벗는 과정에서 타인의 도움 이 필요하다. 입을 옷을 준비하거나 의상 부속품의 치장, 또는 옷을 입고 벗는 시작과 마무리 단계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 하다.


☞ 조금이라도 도움이 필요함.


4 (8) 옷을 조이는 과정(단추, 지퍼, 브래지 어, 신발 등)에 타인의 도움이 약간 필 요하다. 시작 과정에서는 도움이 필요하지만 옷을 입고 벗는 동 작은 도움 없이 독립적인 수행이 가능하다. 옷장에서 옷을 꺼내거나 보조기나 의지를 착용하는 과정, 단추, 지퍼, 브래지어 등 옷을 조이는 과정에서 타인의 도움 이 필요할 수도 있다. 이런 과정에서 유도, 재촉, 힌트 가 필요할 수도 있고 동작 수행의 시간이 정상의 3배 이상 소요될 수도 있다.


☞ 감독 또는 준비가 필요한 경우.


5 (10) 옷을 입고 벗고 조이거나 신발 끈 메 기, 코르셋이나 보조기를 조이고 벗기 등을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하다. 환자가 옷을 준비해서 입고 벗을 수 있고 옷과 신발 끈 을 조이거나, 코르셋, 보조기, 의지를 조이고 벗을 수 있음. 환자는 속옷, 바지, 치마, 허리띠, 양말, 신발 끈을 조정할 수 있다. 브래지어, 목이 긴 스웨터, 지 퍼, 단추 등을 관리할 수 있고, 벨크로, 지퍼 손잡이 등 다양한 보조 장치도 이용할 수 있다. 이상의 동작들 을 적절한 시간 내에 수행 할 수 있다.




7. 배변조절


등급 (점수 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배변을 조절하지 못한다. 환자가 기저귀나 흡수용 패드를 착용해야 한다.


2 (2) 배변자세를 취하거나 장운동촉진 방법 을 시행하기 위해 도움이 필요하다. 도와주어도 종종 실변을 할 수 있으며 패드착용 필요 함.


☞ 시늉만 함. Bowel training 초기 단계에 있는 경우 가 해당될 수 있음.


3 (5) 적절한 배변자세를 취할 수 있지만 장 운동촉진 방법을 할 수 없거나 항문 세 척에 도움이 필요하고 종종 실변이 있 다. 패드착용 등의 실변보조기구 착용 에 도움이 필요하다. 환자가 배변자세는 취할 수 있지만 종종 실변이 있고 배변 후 세척이나 실변 보조기구 착용을 위해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다.


☞ 종종 실변이 있으나 적절한 배변자세를 취할 수 있 음. 회음부 뒤처리에 도움이 필요함.


4 (8) 좌약투여나 관장 과정에서 감독이 필요 할 수 있고 가끔 실변이 있다. 환자는 좌약이나 관장 혹은 기구를 사용할 때 감독이 필요하다. 실변은 드물지만 실변 예방을 위해서는 재촉 이나 힌트 혹은 규칙적 배변이 필요하다.


☞ 가끔 실변이 있으나 감독이 필요한 정도.


5 (10) 배변조절이 가능하고 실변은 없다. 필 요한 경우 좌약이나 관장을 이용할 수 있다. 환자가 배변조절을 스스로 완벽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실변은 없다. 손가락 자극, 변비약이나 좌약 사용, 관 장을 주기적으로 할 수 있다. 인공항문형성술을 한 경 우에는 이를 독립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다.



8. 배뇨조절


등급 (점수 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배뇨조절이 의존적이며 실뇨가 있거나 지속적 도뇨를 하고 있다. 도뇨를 할 수 있지만 밤낮 모두 실뇨가 있고 매일 젖어 있다. 외부도뇨, 배뇨백, 야간백 사용 모두 도움이 필 요하다.


2 (2) 실뇨는 있지만, 삽입 혹은 외용 기구 사용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. 배뇨자세를 취하기 위해서는 도움이 필요하지만 소변기 를 제자리에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. 외부 도뇨기구, 튜브, 배뇨백 관리에 모두 도움이 필요하다. 실뇨는 있 지만 기구사용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.


3 (5) 일반적으로, 실뇨가 낮에는 없지만 밤 에는 있고, 기구 사용에 도움이 필요하 다. 배뇨는 할 수 있지만 배뇨자세를 취하거나 기구, 패드 혹은 다른 기구 사용에 도움이 필요하다. 음경을 소변 통에 넣을 수 있고 다리를 벌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 며 도뇨관을 삽입할 수 있지만 가끔 실뇨가 있다. 유 도, 힌트, 감독이 필요할 경우도 있다.


4 (8) 대체적으로 실뇨가 낮과 밤 모두 없으 나 가끔 발생하고 기구 사용에 약간의 도움이 필요하다. 화장실을 찾을 수 없거나 빨리 찾지 못하면 실뇨를 할 수 있다. 기구 사용이나 기구 사용 준비를 위해 약간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. 배뇨조절 위해 약물치료가 필 요할 수 있다. 실뇨 예방을 위해서는 재촉이나 힌트 혹 은 규칙적 배뇨가 필요할 수 있다.


5 (10) 배뇨조절이 항시로 가능하며 보조기구 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 독립적으로 배뇨조절이 가능하고, 약물이나 기구 사용 을 스스로 할 수 있으며 패드나 기저귀가 젖기 전에 스 스로 교환할 수 있다.




9. 보행 (만일 보행이 불가능하여 의자차 훈련을 하면 적용하지 않는다)


등급 (점수 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스스로 보행할 수 없다. 보행을 할 수 없으며 보행을 위해서는 두 명의 도움이 필요하다.


☞ 평가하지 않고 의자차 항목을 평가함.


2 (3) 보행동안 계속 최소 한 명 이상의 도움 이 필요하다. 보행을 위해 최대한 도움이 필요하다.


3 (8) 보행보조기구에 도달하기 위해 도움이 나 보조기구의 조작이 필요하다. 도움 을 제공하기 위해 한 명이 필요하다. 보행보조기구에 도달하기 위해 도움이 필요하고, 길모 퉁이를 돌 때, 문지방을 넘을 때, 불규칙한 지면을 지 날 때 도움이 필요하지만 보행은 가능하다.


☞ 보행 준비 과정에서 보장구(cane, walker)에 도달 하기 위해 도움 필요.


4 (12) 독립적인 보행이 가능하지만 도움 없이 50미터 이상을 보행할 수 없거나, 위험 한 상황에서는 안전을 위하여 감독이 필요하다. 보행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힌트나 재촉이 필요하다.


☞ 감독이 필요한 정도. 50미터 보행 가능한지 물어볼 것.


5 (15) 보조기를 사용한다면 보조기를 착용하 고 안전장치를 풀거나 잠글 수 있어서 설 수 있어야 하며, 앉아서 필요한 기 구들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로 놓을 수 있어야 한다. 목발, 지팡이, 보행기를 사용할 수 있고 도움이나 감독 없이 50 미터(야드)이상 보행할 수 있어야 한 다. 복도를 왕복할 수 있고 길을 잃거나 넘어질 위험이 없 어야 한다. 환자는 보행기, 지팡이, 의지, 보조기, 특 수 신발 등을 혼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.



9. 의자차(보행 가능한 경우 적용하지 않는다: 2등급 이상)


☞ 일반원칙에 준하여 구분 가능.


등급 (점수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의자차 보행에 전적인 도움이 필요하 다.


2 (1) 평지에서 의자차를 단거리로는 전진시 킬 수 있으나 그 외의 모든 의자차 조작 에 도움이 필요하다. 대부분의 시간동안 의자차를 사용하는데 도움이 필요하 고, 특히 브레이크를 잠그거나, 팔걸이와 쿠션 위치를 조절 할 때 그리고 가구 주위나, 바닥깔개가 느슨하거 나, 울퉁불퉁한 지형을 이동할 때는 도움이 필요하다.


3 (3) 한 명의 도움이 필요하고 탁자나 침대 등에 의자차를 가까이 할 때는 항상 도 움이 필요하다. 의자차를 전진시킬 수 있으나 가구 주위나 제한된 공간 에서 조작할 때는 도움이 필요하다.


4 (4) 환자가 평범한 지면에서는 의자차 보행 을 충분한 시간동안 혼자 사용할 수 있 지만, 좁은 길모퉁이에서는 약간의 도 움이 필요하다. 제한된 공간에서 의자차를 조작할 때 도움이나 구두 지 시가 필요하다.


5 (5) 휠체어를 독립적으로 밀기 위해서는 길 모퉁이 주위를 다닐 수 있고, 회전할 수 있고 탁자, 침대, 화장실 등에서 조 작할 수 있어야만 된다. 환자는 휠체어 를 적어도 50m는 밀 수 있어야 한다.



10. 의자/침대 이동


등급 (점수 ) 주요 내용 설명


1 (0) 이동에 환자가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 며, 장비의 사용 여부에 상관없이 이동 하기 위해 두 명의 도움이 필요하다.


2 (3) 이동하는데 환자가 참여하기는 하지만, 이동 동작의 전 과정에서 한 명의 최대 한의 도움이 필요하다.


3 (8) 환자의 이동을 위해 한 명의 도움이 필요하며, 도움은 이동 동작의 어느 과정 에서도 필요할 수 있다.


4 (12) 확신을 주기 위해 혹은 안전 감독을 위 해 한 명이 필요하다. 슬라이딩 보드를 조절하고, 의자차의 발판을 움직일 수 있고, 의자를 고정시키고 제동장치를 조정할 수 있다. 최소의 도움만 필요로 한다.


5 (15) 의자차로 침대까지 안전하게 도달하여 제동장치를 잠그고 발판을 들어 올린 후 침대로 이동하여 누울 수 있으며, 반대로 침대 모서리에 앉아 의자차를 제대로 위치시킨 후 의자차로 안전하게 이동 할 수 있다. 환자는 수행동작의 모든 과정에서 독립적이어야 한다. 환자가 보행이 가능하다면 설 수 있으며 의자에서 앉고 서거나 침대에서 의자로의 이동을 안전하게 하여야 한다.




K-MBI 검사를 받는 환자라면 장기보험 장해보상을 검토하셔야하니 사무실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
Comments


전주손해사정사무소

Jeonju Claim Adjustment Office

지금,

전문가와

​상담하세요.

Info

T. 063-271-9190

F. 0504-370-9190

kimjihoon911@gmail.com

Address

54966)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269, 3층 328호

Follow

Naver Blog : 킴손사
Instagram : jeonju.ca

  • Instagram
  • Naver Blog

© 2021 by Jeonju Claim Adjustment Office. 전주손해사정 김지훈 538-42-00922 

bottom of page